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1

백내장, 녹내장 정의와 치료 방법 백내장(Cataract) 1. 정의 백내장은 수정체의 혼탁으로 시력이 감소하는 질환이다. 백내장은 눈의 수정체에 있는 단백질이 눈 안에 덩어리를 형성하여 투명도를 잃게 되는 질환입니다. 이 덩어리는 조직 내의 물질의 균형이 깨지면서 형성되며, 눈의 색이 희어지고 흐려지는 증상을 초래합니다. 2. 원인 백내장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노화에 따른 변화입니다. 노화는 수정체에 있는 단백질의 구조를 변화시키고 쌓이게 합니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백내장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1) 유전적 요인: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백내장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2) 선천성 백내장: 출생 시부터 수정체의 이상이 있는 경우 백내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임신 초기에 어머니.. 2023. 6. 21.
기도 및 식도 이물, 직장 내 이물 1. 기도 및 식도의 이물 1) 폐색이 잘 생기거나 이물이 잘 걸리는 부위 (1) Cricopharyngeus muscle (Upper esophageal sphincter, UES) C6(가장 흔함) (2) 대동맥궁(Aortic arch) T1 - T4 (3) Gastroesophageal juction (Lower esophageal spincter, LES) T10 - T11 (4) 소아: Thoracic inlet - T1, Tracheal bigurcation부위 - T6 2) 증상 (1) 성인: 애매한 증상 호소, 흉골 뒤 통증을 호소하며 국소화하려는 경향 있다. 연하곤란, 구토, 질식하는 느낌 호소한다. (2) 소아: 과거력은 애매한데 환아가 뭘 먹으려고 하지 않거나, 못 먹거나 구역 있거나.. 2023. 6. 19.
이물 제거(각막,코,귀)처치 이물 삼킴 1. 각막 이물 이물(금속, 모래, 나무 조각, 플라스틱 조각 등)이 각막의 상피층이나 실질 층에 박힌 것이고 각막을 통과하여 전방이나 후방 이상의 깊이에 위치할 경우 안구 내 이물이다. 1) 증상 안 통과 이물감(점안 마취제로 사라짐), 눈물, 충혈, Photophobia 2) 이학적 검사 (1) 시력 측정 정상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충혈된 결막, Ciliary injection(전방의 염증 반응이 있을 때), Rustring(금속이 녹슨 동그란 흔적), 상피 박리, 각막 부종, 전방의 Cell flare보일 수 있다. (2) 이물 확인 (육안 및 Slip lamp 상 이물 확인) - 각막뿐만이 아니라, 결막도 Eversion 시키고, 안구를 돌려 전부 확인한다. - 산동제를 투약 산동 후.. 2023. 6. 19.
약물중독(그라목손DI) 그라목손(Paraquat) 파라콰트(Paraquat) 또는 상품명 그라목손(Gramoxone)은 주로 제초제로 사용되는 농약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성분명인 파라쿼트보다 그라목손이라는 명칭이 인지도가 높아 널리 쓰였다. 1. 정의 농약의 일종으로 Paraquat는 제초제로써 쓰인다. 흔히 ‘그라목손’이라는 상품명으로 잘 알려져 있다. 성능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세계에서 많이 사용하는 약물이었으나 Paraquat에 노출된 경우, 노출된 양과 증상 유무에 관계없이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이에 노출되었을 경우 생존자가 극히 드물어 2011년 10월 25일, 농촌진흥청에서 그라목손의 농약 품목 등록 취소 처분 결정을 내리면서 우리나라에서 완전히 판매가 중단되었고 이듬해 11월부터는 보관 판매도 금지되어, .. 2023. 6. 17.
익수(drowing) 익수(Near drowning) ☞ 익수는 물에 빠진 후 일시적이라도 환자가 생존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 익수 사고는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합니다. 주로 수영을 처음 배우는 사람이나 어린이에게서 발생합니다. ☞ 익수로 인한 사망률은 남성이 여성보다 5배 많고, 2세 이하, 10~19세에 익수의 위험도가 가장 큽니다. ☞ 사고 발생 지역은 욕조(4세 이전), 수영장(학령 전기), 강, 웅덩이, 수영장(청소년기) 등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1. 정의 1) 익사(Drowning): 침수 후 24시간 이내에 흡인으로 인한 사망 2) 익수(Submersion): 침수 후에 생존한 경우 (1) Wet-drowning ① 폐에 물의 흡인이 된 경우 - 폐 계면활성제의 희석, 무기폐, 폐포를 통한 산소 이동장애, V.. 2023. 6. 16.
전기화상(Electrical burn) 전기화상이란? 전기에 의한 화상이란 감전 시 전류의 종류(직렬 또는 병렬), 전압, 접촉 신체 부위, 감전되어 있던 시간에 따라 정도가 다르다. 약한 가정용 110V 전기 충격도 심한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1. 전기화상의 종류 1) 불에 의한 화상 전류에 의한 불꽃으로 화상을 입는 경우이다. 2) 감전에 의한 화상 전류가 몸을 통과할 때 일어나는데 이는 특히 전류가 드나든 상처가 생긴다. 이때 외관상 보이는 상처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한 것으로 몸을 통과하는 고압 전류는 정상적인 심장 박동을 방해하고 심정지, 화상 등 다른 상처를 가져올 수 있다. 전기의 충격을 받는 동안 전기는 접촉한 신체 부위를 통해서 몸 안으로 들어와 신경과 혈관을 따라서 퍼지면서 몸 안에 심각한 손상을 입는다. 대개 전기는 신체.. 2023. 6. 15.

2. body 구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