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 돌발성 어지럼 (Benign Proxysmal Positional Vertigo, BPPV)
양성 돌발성 어지럼증은 임상에서 가장 흔한 어지럼증 중 하나로, 수 초에서 1분 미만의 지속 시간을 가지는 짧은 회진성 어지럼증이 일정한 자세의 변화에 의해 반복적으로 유발된다.
1. 정의
1) 어떤 특이한 위치로 머리를 움직일 때 어지러움 및 안진을 초래하는 질환이며 임상에서 가장 흔한 어지럼증 중 하나로, 수초에서 1분 미만의 지속 시간을 가지는 짧은 회전성 어지럼증이 일정한 자세의 변화에 의해 반복적으로 유발된다.
2) 40세 이후 나이가 들수록 호발 하며 여자가 남자보다 1.6배 정도 많이 발생하며 일측성이 많다.
3) 유발인자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두부 손상, 장기간의 침대 생활, 노령화, 청신경종 양, 감염, 전정 신경염, 중이염, 이 독성을 유발하는 약물복용 등과 연관이 많다.
2. 원인
50세 이하에서 BPPV의 가장 흔한 원인은 두부 손상으로 알려졌지만, 편두통과 동반된 는 경우도 있다. 고령에서는 전정기관의 퇴행성변화가 가장 흔한 원인이며 앞에서 언급했듯이 나이가 들수록 BPPV 유병률은 증가한다. 이는 나이가 들면서 내이의 허혈로 인해 이 석이 불완전하게 형성되기 쉽고 이석 기관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 유동성 석회화 물질이 쉽 게 생길 수 있기 때문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그러나 약 50%에서 BPPV는 특발성이며 이는 뚜렷한 원인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를 이르는 말이다. 전정신경염이나 전하소뇌 동맥 같은 뇌혈관을 침범하는 경한 뇌졸중(AICA syndrome) 또는 메니에르병 등이 중요하지만 흔하지 않은 원인이다. 때때로 BPPV가 수술 이후나 내이 수술 이후에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3. 병태생리
BPPV(양성 돌발성 체위성 어지럼증)의 어지럼증은 내이(Inner ear) 속의 한 부분에 모여져 있는 이석(Ear rock) 부스러기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의심이 되며, 이 부스러기의 이름은 이석이지만 귀속에서 몸의 평형을 유지하게 시키는 모래라고 생각된다. 이석은 '난형낭 (Utricle)'이라 불리는 내이 구조물에 존재하는 작은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결정체
이다. 구형낭(Saccule)에도 이석이 반고리관으로 갈 수 없게 되어 있다. 난형낭은 뇌 손상, 감염 또는 다른 내이를 침범하는 질환들 그리고 고령에 의한 퇴행성 변화에 의해 손상을 받는데, 정상적으로는 이석은 서서히 새로운 것들로 교대되고 사라진다. 자연스럽게 녹기도 하고 또는 능동적으로 미로(Labyrinth)의 'Dark cell'에서 흡수되기도 한다. 일부 학자들은 이 부스러기를 난형낭이나 팽대부릉(Cristae) 주위에서 발견되기도 했다.
4. 임상증상
양성 자세 어지럼은 결석이 발생한 반고리관의 위치에 따라 뒤반고리관 양성 자세 현훈, 앞반고리관 양성 자세 현훈, 그리고 외측 반고리관 양성 자세 현훈으로 분류한다. 앞 및 외 측(Lateral) 반고리관에서 발생하는 양성 자세 현훈은 드문 편이다. 뒤 반고리관 양성 자세 현훈은 체위성 현훈 중 가장 흔한 형태이다. 병적 증상이 나타난 귀 쪽이 바닥에 닿도록 환자를 눕히면 중력의 영향으로 결석이 이동하면서 반고리관 내에 있는 림프액의 흐름을 유도하고, 이 흐름으로 인하여 환자는 어지럼증을 느끼게 된다. 앞 및 외측 반고리관 역시 해당 반고리관이 흥분하는 방향으로 머리를 움직일 때 어지럼증을 느낀다. 주로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날 때 갑자기 회전 감이 있는 현기증(Whirling type vertigo)과 평형 장애를 발작적으로 경험하며, 특히 베개를 베거나 목을 구부렸다 위를 쳐다보는 행동할 때 순간적으로 현기증이 발생한다. 이때 자율신경계의 자극 증상인 오심, 구토, 두통, 가슴 두근거림, 식은땀 등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거의 모든 환자가 어지럼증과 함께 구역과 구토를 느끼지만, 회전감 있는 현기증은 1분 이내로 짧게 지속되며, 대개 머리를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으면 곧 증상이 사라진다. 머리의 위치를 바꾸는 행동을 하지 안 는다면 일상생활에는 지장이 없다. 양성 현훈이 발생하는 남녀의 성비는 1:1.6~2 정도로, 여자에게 더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진단
병력, 진찰 소견과 전정 및 청력검사 소견에 의해 진단이 가능하고 종종 병력 청취와 이 학적사로서 진단이 가능하다.
1) Dix-Hall pike 검사: 양성은 눈동자가 특정 방향으로 튀는 안진을 보이는 경우이다. 안진은 눈동자가 상향하면서 눈동자의 위쪽 부위가 아래쪽으로 향하는 회전성 안진을 보이게 된다. 이 검사는 특수 안경(Frenzel goggles) 또는 비디오 모니터링 특수 안경을 이용하여 더욱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환자의 증상은 앉은 자세에서 눕거나 침대에서 돌아 누울 때 발생하는 심한 회전성 현훈감이다. 다른 대부분의 체위성 어지럼증은 누워 있을 때 보다 기립자세에서 더욱 악화하기 때문에 구별이 가능하다. (예, 기립 저혈압).
2) 전기안진 검사(ENG): Dix-Hall pike 두위변환검사에 의해 유발되는 특징적인 안진(눈동자가 특정 방향으로 튀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가 있다. 편측 수평반 고리 마비를 동 반한 BPPV는 혈관성 원인에 기인한다는 연구가 있다(Kim et al, 1999). 전정기능검사로 서 BPPV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수직 반고리관의 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전기안진 검사가 필 필요로 하다.
3) 걸음걸이: Peripheral Vertigo 시 병변 쪽으로 쓰러지려는 경향이 있어도 걸을 수 있다. 반면 Central vertigo 시에는 걸을 수 없다.
4) Head trust maneuver
(1) 환자는 멀리 떨어진 표적을 응시하도록 한다. 환자의 머리를 왼쪽으로 빠르게 돌린다.
(2) 그 후에는 오른쪽으로 돌린다.
(3) 정상인 경우에는 눈이 표적에 머무를 것이다.
(4) 비정상인 경우에는 눈이 표적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러한 반응은 말초 전정기관에 병변이 있다는 것을 뜻한다.
5) Nystagmus
(1) 머리를 한쪽으로 돌릴 때 눈동자는 반대 방향으로 천천히 가다가 (Slow phase) 머리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한다(Spontaneous nystagmus).
(2) Vertigo 시 정면 주시 시 Nystagmus 관찰할 수 있다.
(3) Peripheral Vertigo 시 Affected side 반대 방향으로 이동이 생기며 Visual fixation Nystagmus 감소한다. 그리고 고개를 여러 방향으로 돌려도 한 방향으로 Nystagmus 관 찰된다.
6) MRI : 뇌졸중이나 뇌종양이 의심될 때 시행한다. 6. 치료 이 질환은 수 주일이나 수개월이면 자연치유가 되나 간혹 오랫동안 지속되기도 한다. 급성 기가 지나면 반복적인 자극으로 전정 재활을 유도하며 1년 이상 지속 시 또는 약물치료에 반응 없는 경우에 수술적 치료로 미로 적출술을 시행한다. 약물적 치료는 Antihistamine, Anticholinergic, Anti emetics, Tranquilizer 등을 투여한다.
7. 간호
1) Modified epley maneuver
(1) 앉은 자세에서 눕혀 테이블 밖으로 고래를 45° 신전시키고 병변 위치를 아래로 돌린 다.
(2) 고개를 1분에 걸쳐서 천천히 반대 방향으로 돌린다.
(3) 몸 전체를 우측으로 돌리고, 머리는 바닥을 보도록 더 돌린다.
(4) 턱을 숙인 채 일어나 앉힌다.
2) 낙상하지 않도록 주의하여 Screening 한다.
'Emergenc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황장애 진단 및 치료법 (0) | 2023.07.20 |
---|---|
중이염이란? (0) | 2023.07.11 |
말라리아(Malaria)란? (0) | 2023.07.03 |
혈흉이란? (0) | 2023.07.02 |
담낭염(cholecystitis) (0) | 2023.06.30 |
댓글